워드프레스 백업, 복원 하는 방법 (수동, 웹호스팅, 플러그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워드프레스를 백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백업이란?

백업(backup)은 갑자기 발생하는 상황(문제)에 대비하여 데이터를 미리 다른 곳에 보관해 두는 작업을 말합니다.

 

 

백업을 해야 하는 이유

웹 사이트를 운영하다 보면 아무리 보완을 철저하게 한다고 해도 [해킹, 멀웨어 감염, 서버 충돌, 인적 오류, 실수로 인한 삭제]와 같은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백업은 이러한 상황으로부터 여러분의 소중한 웹사이트 데이터를 잃지 않게 해주는 보험과도 같은 작업으로, 백업 없이 사이트 문제를 해결하고 복구하는 것보다 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웹사이트를 복원 시켜줍니다.

이 뿐만 아니라, 다른 호스팅으로 이동(마이그레이션)하거나 도메인 이름을 변경하는 경우에도 백업을 이용하면 사이트를 처음부터 다시 구축할 필요가 없고, 운영하고 있는 웹사이트에 새로운 디자인이나 기능을 개선하거나 추가하다가 마음에 안 들거나 잘 못 됐을 때도 원래 상태로 쉽게 돌아갈 수 있어 유용합니다.

* 마이그레이션 : DB,시스템,응용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다른 시스템으로 이전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백업 대상

워드프레스의 구성 요소인 ‘사이트 파일‘과 ‘데이터 베이스(DB)‘가 주 백업 대상 입니다.

사이트 파일은 워드프레스 코어, 플러그인, 테마, 이미지와 파일, JavaScript, PHP 및 기타 코드 파일, 추가 파일 및 정적 웹 페이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 모두 웹 사이트를 생성하기 위해 다양한 조합으로 사용 됩니다.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와 같은 기본 정보 뿐만 아니라 포스트, 카테고리, 콘텐츠, 페이지, 댓글, 링크, 워드프레스 구성 설정까지 모든 것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 워드프레스의 기본적인 구조와 기능을 담당하는 정적인 정보들은 사이트 파일이, [사용자의 글과 댓글, 워드프레스 테마 & 플러그인 & 기타 설정 등] 입력/수정/삭제를 통해 관리되어야 하는 동적인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가 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백업 방법 및 도구

워드프레스는 자체 백업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웹호스팅 도구와 FTP 프로그램을 이용해 직접 백업하는 수동식 방법과 웹호스팅에서 지원하는 서비스나 다양한 플러그인의 자동화된 시스템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동식 방법은 웹호스팅 서비스나 플러그인의 자동화 도구로 백업/복원을 하는 것보다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지만, 원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있고 백업 파일을 가장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자동화된 시스템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수동으로 작업하는 것과 달리 정확히 원하는 시점을 선택할 수 없고 사용 가능 기간이 정해져 있지만, 작업이 훨씬 간단하고 웹사이트의 변동 이력을 일관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스템 도구를 이용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백업본은 직접 다운로드하여 PC나 클라우드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백업/복원 시 유의사항

다양한 원인으로 소중하게 키워온 웹사이트를 한 순간에 잃기 전에, 미리 보안을 강화하고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대비할 수 있도록 평상시에 정기적인 백업을 하고 백업본을 안전한 곳(PC, 클라우드 등)에 저장하시길 바랍니다.

특히, 중요한 작업(워드프레스 버전 등 중요한 업데이트, 데이터 작업, 호스팅 이전 등)을 시작하기 전과 완료 후에는 꼭 백업을 하는 것이 좋고, 웹 사이트에 트래픽이 많거나 콘텐츠를 자주 발행하는 만큼 더 자주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백업본은 혹시 모를 상황을 대비하여 다양한 시점으로 최소 3개 이상 갖고, 다른 장소나 형태로 백업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참고로, 웹 사이트의 크기와 복잡성에 따라 소요 되는 시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여 백업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통상적으로 사이트 파일이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좀 더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백업에 비해 백업 주기를 좀 더 느슨하게 가져가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백업 및 복구 작업은 가급적 방문자가 없는 늦은 밤이나 새벽 시간에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업 할 때, 백업본을 저장 하는 서버 공간(웹서버, PC, 클라우드 등)에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서버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면 백업이 온전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백업하기 전에 스토리지가 충분한지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 스토리지 : 장기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이론 상 사용 중인 데이터의 두 배 이상의 여유 공간이 있어야 합니다(압축하는 데 필요한 임시 공간과 최종 백업본을 위한 공간). 예를 들어, 1GB의 데이터가 있다면 여유 스토리지가 2GB 정도 필요하므로 전체 스토리지가 3GB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이보다 조금 작아도 백업이 가능합니다).

평소에 백업본이 지나치게 많이 늘어나지 않도록 관리하고, 그럼에도 공간이 부족하다면 웹호스팅 상품을 업그레이드 하시길 바랍니다.

 

 

백업 파일은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업 파일은 무단 액세스, 데이터 침해 및 기타 보안 위협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보안이 강화된 저장소‘에 보관하고, 파일에 ‘암호화‘ 및 ‘암호 보호‘를 사용하여 안전하게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액세스 : 접근 

백업 파일을 암호화하면 보안이 한층 더 강화되어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백업 파일을 읽을 수 없게 되고, 백업 파일에 비밀번호 보호를 구현하면 권한이 있는 사람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습니다.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중요한 데이터에 액세스하지 못하도록 항상 강력한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쉽게 추측할 수 있는 비밀번호를 사용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사이트(호스팅) 이전 시, 기존의 사이트와 새로운 사이트의 서버 환경이 최대한 동일하게 맞춰줘야 합니다. 

기존 사이트와 새 사이트의 서버 환경(PHP 버전, 워드프레스 버전 등)이 비슷하지 않으면 이전 후에 사이트 접속이 안 되거나 사이트가 제대로 표시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워드프레스는 원하는 버전으로 다운로드 설치가 가능하니 꼭 맞춰 놓으시길 바랍니다. 

* 사이트(도메인) 이전 후에 내부 링크, 업데이트, 플러그인 등 일부 설정을 재구성하거나 조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플러그인으로 호스팅 이전하는 방법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수동으로 이전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DB 파일이나 데이터가 너무 크거나 서버 환경에 따라 실패할 수 있습니다.)

 

수동으로 직접 백업/복원하기

수동식 백업은 웹호스팅이나 플러그인으로 백업/복원을 하는 것보다 더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지만, 백업 파일을 가장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수동으로 하려는 경우, 웹 사이트 파일‘과 데이터베이스(DB)‘를 직접 다운 받아 백업하시면 됩니다.

웹 사이트 데이터는 FTP/SFTP로 웹 서버에 접속하여 사이트 디렉터리 자체를 다운로드하여 백업하고, 업로드를 통해 복원 시킬 수 있습니다.

DB는 phpMyAdmin이나 mysqldump 또는 이와 유사한 호스팅에서 제공된 MySQL(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접속하여 내보내기(Export)를 통해 백업하고, 가져오기(Import)를 통해 복원 시킬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라고 하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DBMS를 뜻하는 것으로, Oracle, DB2, SQL Server, PostgreSQL, MySQL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들이 있지만, 워드프레스에서는 플랫폼 독립성이 높고 용도와 기능이 다양한 오픈 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인 MySQL이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이트(호스팅) 이전을 한다면, 이전 후에 주소(워드프레스, 사이트)가 변경 되기 때문에 주소를 일괄 변경하셔야 됩니다(DB 작업).

 

FTP를 통해서 웹 사이트 파일 백업하기

워드프레스 백업, 복원 하는 방법 (수동, 웹호스팅, 플러그인)

파일질라(FileZilla)와 같은 FTP를 이용해 웹 서버에 접속하여 /public_html에 있는 모든 워드프레스 파일 및 폴더를 선택하여 로컬 컴퓨터(PC)에 다운로드합니다.

 

315

백업할 때, 숨긴 파일이 있을 수 있으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파일질라(FileZilla)에서는 서버 옵션 메뉴에 [숨겨진 파일 강제 표시]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326

복원은 기존의 파일을 삭제하고 다운 받은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 받은 파일을 기존의 파일에 덮어쓰기 하여 교체하시면 되는데요. 용량이 큰 파일을 일일이 업로드하여 옮기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압축하는 것이 좋습니다. cPanel을 제공하는 호스팅을 이용하는 경우, File Manager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압축하여 다운로드/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기존 호스팅에서 FTP에서 백업할 파일을 압축하여 PC로 다운로드 > 백업한 압축 파일을 이전할 호스팅 서버 워드프레스 폴더에 업로드 > 웹호스팅 파일 매니저에서 기존 파일 삭제 후 압축 풀기)

 

282 1

웹사이트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테마, 플러그인, 미디어 파일, 웹사이트 리소스 등 콘텐츠 데이터만 따로 다운로드 하고 싶다면 public_html에 위치해 있는 /wp-content/ 폴더만 다운 받으시면 됩니다. (용량이 큰 워드프레스용 기본 설치 파일들은 다른 곳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웹호스팅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백업하기

283

데이터베이스는 phpMyAdmin이나 mysqldump 또는 이와 유사한 웹호스팅에서 제공된 ‘MySQL(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에 접속하면 찾을 수 있습니다. 

 

MySQL(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에 접속하면, 호스팅 서버에 있는 데이터베이스 목록을 볼 수 있는데요.

백업할 데이터베이스와 내보내기 방법 옵션을 선택하고, 내보내기(export)를 통해 백업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sql 파일 포맷으로 간단하면서도 빠르게 내보낼 수 있습니다.

 

319

복원할 때는, MySQL 관리 도구에 접속해서 백업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한 다음 가져오기(Import)를 하시면 됩니다.

 

 

 

 

호스팅 이전

직접 호스팅 이전을 하는 경우(예를 들어, A 호스팅에서 B호스팅으로 이전 시), 위의 방법을 응용하시면 되는데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1. A 호스팅에서 워드프레스 데이터와 DB를 백업합니다. (PC로 다운로드)

전체 워드프레스 파일과 폴더를 다운로드해도 되지만, 이미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이전할 호스팅에 설치하고 워드프레스 버전이 최신 버전인 경우 ‘wp-content 폴더‘만 다운로드해도 됩니다.

 

2. B 호스팅에서 새로운 워드프레스 사이트를 설치합니다.

* 이미 워드프레스 사이트가 있는 경우 생략해도 됩니다.

DB를 수동으로 만들어도 되지만, 초보자에게는 쉽지 않은 작업일 수 있습니다.

사이트를 옮긴 후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려면 미리 A 호스팅과 B 호스팅의 서버 환경을 최대한 동일하게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3. B 호스팅에 있는 워드프레스 데이터를 A 호스팅의 데이터로 교체(복원) 시켜줍니다.

FTP나 File Manager를 통해 B 호스팅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A 호스팅의 데이터로 업로드 하거나 덮어쓰기 하시면 됩니다.  

 

4. B 호스팅에서 DB 정보를 확인합니다.

316

DB 정보는 wp-config.php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백업하기 전에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메모해두시길 바랍니다.

317

그리고 테이블 프리픽스를 이전하고자 하는 DB의 테이블 프리픽스로 수정해야 합니다.

$table_prefix = '이전할 DB의 테이블 프리픽스'

 

5. B 호스팅의 DB를 A 호스팅의 DB로 교체(복원) 시켜줍니다.

위 과정을 거친 후 이전할 호스팅의 기존 DB(확인했던)를 삭제하고 백업할 DB(메모했던)를 가져오면 작업이 완료됩니다.

※ 복원 시, 파일이 큰 경우 DB를 분할하거나 다른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6. 호스팅 주소가 변경되었기 때문에 주소를 변경해줍니다.

318

* 이전 전과 이전 후 주소가 동일하다면 생략 가능합니다. 

wp options에서 워드프레스 주소와 사이트 주소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site url과 home 레코드 값을 변경하면 됨.)

주소 변경은 노트 패드로 켜서 찾기 바꾸기 툴을 이용하여 바꾸셔도 되고, 워드프레스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일괄 변경도 가능합니다.

 

321

이것으로 이전이 완료됩니다.

이제 사이트에 로그인 하여 설정 > 고유주소 섹션으로 이동하여 저장을 한번 눌러주면 됩니다.

 

 

 

WP Database Backup

icon

참고로,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면 한번의 클릭으로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원이 가능하며, 수동 또는 자동 백업도 지원됩니다.

프로 버전을 이용하면 데이터베이스 백업을 드롭박스, FTP, 이메일, 구글 드라이브, Amazon S3 등 안전한 곳에 보관할 수 있습니다.

 

 

 

 

 

호스팅에서 제공하는 자동 백업 및 복원 서비스

일부 호스팅 업체(카페24, FastComet, 사이트그라운드 등)에서는 자동으로 백업/복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호스팅마다 제공하는 서비스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용하는 웹호스팅에서 한번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 유의 사항

백업 의무는 전적으로 사이트 관리자에게 있습니다.

호스팅 업체에서 자동으로 백업/복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이것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것을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호스팅 제공 업체의 서버에 문제가 발생한다면, 웹사이트의 데이터도 손상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몇 년 전 국내에서 한 호스팅 업체가 랜섬웨어에 감염되는 바람에 백업을 하지 않은 고객들이 많은 피해를 입은 적이 있고, 드물지만 호스팅 서비스가 종료된 후에 백업본이 없어서 사이트를 새로 제작해야 하는 사례도 종종 있습니다.

 

웹호스팅 서비스를 이용 기간이 만료될 경우, 일정 기간이(보통 15일 ~ 1개월)지나면 데이터가 영구적으로 사라집니다.

 

호스팅 이전 시에는 직접 수동으로 백업/복원을 해야 합니다. 

 

자동 복원을 해도 원하는 날짜의 파일로 제대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이트에서 악성코드(멀웨어 등) 발견되어 악성 코드가 없는 시점으로 복원해도 악성 코드가 그대로 남아 있는 경우 등 복원 시 문제가 발생하면 고민하지 말고 고객지원센터에 연락하는 것이 좋습니다. 증상을 자세히 설명하면 웹호스팅 업체에서 문제를 해결해줄 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의 웹호스트는 사이트를 포함하여 전체 서버를 백업하지만 사이트 사본을 요청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이렇듯 웹호스팅 자동 백업/복원 서비스는 편리하지만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만일의 사태가 발생하더라도 확실하게 복구/이전 할 수 있도록 평소에 정기적으로 PC나 클라우드에 백업을 받아 놓는 것이 좋습니다.

 

 

 

 

카페24의 자동 백업/복원 기능

카페24에서는 지난 7일간 백업/복원 기능을 제공합니다.

(매일 새벽 4~5시 경에 전날 데이터를 백업하며, 기간이 지난 백업본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자동 백업은 관리페이지에서 백업과 복원을 모두 진행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복원/백업하기 항목 아래에 ‘일일 정기 백업분’과 ‘이벤트 백업분’이 있는데, 이벤트 백업분은 불규칙하기 때문에 일일 정기 백업분을 기준으로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카페24의 자동 백업/복원 기능

DATA&DB복원/백업‘ 페이지에서 자동 백업/복원을 진행할 수 있는데요. DATA와 DB를 개별로 진행해 주셔야 됩니다.

백업은 ‘백업하기‘ 클릭 후, 원하는 시점을 선택하여 실행하시면 됩니다.

※ 용량이 3GB 초과할 경우, 고객센터에 신청을 해야 백업할 수 있습니다. 

복원은 ‘복원하기‘를 클릭 후 원하는 시점의 백업본을 선택한 후 실행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백업 받기/올리기‘ 페이지에서 직접 DB와 DATA를 받는 수동식 백업 방법도 가능합니다.

수동 백업의 경우, 호스팅에서 백업 파일을 생성하면 워드프레스 서버에 저장되는데, 파일질라와 같은 FTP 소프트웨어로 서버에 접속해야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이 번거롭지만 백업 파일을 PC나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해외 호스팅의 자동 백업/복원 서비스

해외 호스팅을 이용하는 경우, 라이브 채팅을 통해 상담원과 문제에 대해 상의를 하여 해결하시면 됩니다.

Bluehost VPS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일일백업, 주간백업, 월간백업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적절한 백업본을 다운로드하여 직접 복구를 시도할 수 있고, SiteGround는 지난 30일 이내의 기간으로 복원이 가능하고, FastComet도 지난 7일치 백업본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웹호스팅으로 백업/복원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자동/수동 방식 모두 장단점이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방식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백업 플러그인을 사용한 백업/복원

본 포스팅에서는 플러그인에 대해 간략한 설명만 하겠습니다. 사용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이 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백업 플러그인은 워드프레스 웹사이트 백업, 복원, 호스팅 이전 과정을 간소화하도록 설계된 사용자 친화적인 전문 도구로, 일반적인 과정을 자동화하여 최소한의 노력으로 웹사이트 파일, 데이터베이스 및 구성의 사본을 (압축하여) 만들어 직접 DB에 접근할 필요 없이 FTP나 SSH를 사용할 일도 없이 쉽게 웹 사이트를 수동 및 자동으로 백업, 복원, 이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워드프레스에서는 다양한 백업/복원 플러그인이 있으므로 마음에 드는 플러그인을 사용하시면 되는데요.

다만, 모든 프로그램은 불완전성의 소지를 갖고 있으며, 유료 버전을 사용해야 그 기능을 온전히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플러그인으로 호스팅 이전하는 방법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수동으로 이전하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DB 파일이나 데이터가 너무 크거나 서버 환경에 따라 실패할 수 있습니다.)

 

 

 

– 백업 플러그인은 필요할 때에만 활성화하고 평소에는 비활성화해도 됩니다.

– 웹 서버 공간이 충분하지 않는 경우, 불필요한 오래된 백업본은 삭제하여 백업본을 최소한으로 유지하시기 바랍니다. 

– 자동 백업을 설정한 경우, 지나친 백업 파일 생성으로 인해 웹호스팅 서버 공간이 부족해질 수 있으니(이는 웹 사이트 로딩 속도 저하로 이어집니다.)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자동 생성되는 백업본 개수를 설정하거나, 자동 백업 기능을 비활성화 하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 카페24에서 PHP 버전을 변경할 경우, 반드시 데이터와 DB를 백업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PHP 변경 후에 사이트를 복구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올인원 WP 마이그레이션 및 백업

icon

활성 설치 : 5000,000+

All-in-One WP Migration 플러그인은 미디어, 테마, 플러그인, 설정, 데이터베이스 등 각종 모든 데이터를 하나의 파일로 만들어줌으로써 웹사이트 전체를 매우 간편하게 백업, 복구, 이전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플러그인입니다.

사이트 규모가 커도 백업이 가능하지만, 무료 버전에서는 업로드 가능한 백업 파일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소규모 사이트(512MB)에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 버전 참고

 

 

 

 

상승기류플러스

icon

활성 설치 : 3000,000+

UpdraftPlus는 웹 사이트 전체(DB와 데이터 모두)를 쉽고 빠르게 백업, 복원, 이전할 수 있는 플러그인으로, 수동 및 자동 백업을 할 수 있고, 구글 드라이브, 드롭 박스, 원드라이브 등 외부 저장소에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사이트 규모가 커도 백업이 가능하지만, 무료 버전에서는 제약이 있습니다.

(사이트 주소, DB 테이블 프리픽스가 동일해야 하며, 멀티사이트 및 사이트 마이그네이션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 DB 테이블 프리픽스가 다른 경우, Brozzme DB Prefix & Tools Addons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DB 테이블 프리픽스를 동일하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프로 버전 참고

(All-in-One WP Migration and Backup와 UpdraftPlus는 가장 대중적인 백업/복원/이전 플러그인 입니다.

개인적으로 비교를 하자면, All-in-One WP Migration and Backup이 사용 방법은 좀 더 간단해서 편리하지만, UpdraftPlus가 좀 더 한국어 친화적이고 가성비가 좋은 것 같습니다.)

 

 

 

 

백업

icon

600,000+ 활성 설치

BackWPup은 웹사이트 전체를 수동 및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고, 드롭박스 등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업로드할 수 있는 플러그인 입니다.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프로 버전

 

 

 

 

복사기

icon

Duplicator는 사이트 이전 시 All-in-One WP Migration와 같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플러그인입니다. 

프로 버전

 

 

 

 

제트백업

icon

 

활성 설치 : 40,000+

Backup Guard를 사용하여 사이트(DB & 데이터)를 쉽게 백업, 복원, 마이그레이션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이트 주소가 다른 경우에는 유료 버전으로 전환해야 복원이 가능하며 규모가 큰 사이트(예: DB 크기가 1GB 가까이 되는 경우)를 백업하면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로 버전

 

 

 

 

볼트프레스

icon

활성 설치 : 20,000+

볼트프레스는 사용하기 아주 쉬우며, 지속적인 백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웹사이트에서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에도 실시간으로 백업해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가장 마지막으로 변경한 내용도 일반적으로 몇 분 안에 백업사항이 저장됩니다.)

월 사용료를 내야 하며 추가하는 게 조금은 까다롭긴 하지만, 다른 수많은 경쟁 플러그인에 비해서 여기에 있는 기능과 도구 모음들은 훨씬 더 크게 확장할 수 있습니다.

프로 버전

 

 

 

 

 

마치며

이상으로 워드프레스에서 사이트를 백업/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본인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여 주기적으로 백업을 실시하시기 바랍니다.

워드프레스 백업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WordPress Backups 문서를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밑에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시면 저에게 큰 힘이 되고 콘텐츠의 방향성을 잡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혹시 궁금한 점이나 원하시는 주제가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구글 검색 키워드(첫페이지 순) : 워드프레스 백업 플러그인, 워드프레스 백업, 워드프레스 복구, 워드프레스 복원, 워드프레스 수동 백업, 워드프레스 백업 방법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