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스트코멧 웹 호스팅 구매 및 워드프레스 설치 방법
이번에는 페스트코멧 사이트를 통해 워드프레스를 개설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이 과정이 번거로워도 꼭 스스로 해보길 바란다.
막상 해보면 그리 어렵지 않고,
이번 한 번 제대로 배워두면 다른 웹 호스팅을 이용할 때도 어렵지 않을 것이다.
혹시, 웹 호스팅이 뭔지 모르겠다면 이전 글을 확인해보길 바란다.
1. 패스트코멧 가입(도메인 & 호스팅 구매)
1. 패스트코멧(fastcomet) 사이트에 접속하여 [plans & Pricing] 버튼을 클릭한다.
* 영어 내용이 불편하다면, 크롬 브라우저 기준 우클릭 – 한국어(으)로 번역을 통해 내용을 한글로 볼 수 있다.
2. 본인이 만들 사이트의 규모를 고려하여 그에 맞는 플랜의 [시작하다] 버튼을 누른다.
소규모로 사이트 1개만 개설할 경우 – 패스트클라우드
어느 정도 규모 있는 사이트를 2개 이상 개설할 경우 – 패스트클라우드 플러스 or 패스트클라우드 엑스트라
* 언제든 플랜을 업그레이드 혹은 다운그레이드 시킬 수 있으니 크게 고민 안 해도 된다.
※ 한 달 결제든, 1년 결제든 다음에 결제할 때는 할인된 가격이 아니라 원래 가격으로 받는다.
* 요금제 별 주요 서비스 내용 비교 표
구분 |
FastCloud | FastCloud Plus | FastCloud Extra |
웹사이트 |
1 | 무제한 | 무제한 |
저장공간 |
15GB | 25GB | 35GB |
대역폭 | 무제한 | 무제한 |
무제한 |
이메일 |
무제한 | 무제한 | 무제한 |
도메인 | 사용 불가 | 무제한 |
무제한 |
일일백업 |
7 |
7 |
30 |
데이터베이스 |
무제한 |
무제한 |
무제한 |
SSL 인증서 |
가능 | 가능 |
가능 |
고객 기술 지원 | 24/7 | 24/7 |
24/7 |
3. 본인이 사용할 도메인을 입력하고 [USE THIS DOMAIN] 버튼을 누른다.
* 기억하기 쉽고, 짧아서 타이핑하기 쉽고, 전문 분야와 관련된 용어가 좋은 도메인이다.
4-1. 아래 정보들을 영문으로 입력해준다.
* 네이버 영문이름변환기 / 네이버 영문주소
계정 정보를 예시로 입력해 보겠다. * 가입 이후 수정 가능하다
4-2. 계정 정보 입력란 밑에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 밑에 사진과 같이 되어 있으면 된다.
– 데이터 센터는 가까울수록 사이트의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도쿄 or 싱가포르를 선택하면 된다.
– 엑스트라는 부가 서비스로, 도메인 등록과 도메인 프라이버시만 선택하면 된다.
4-3. 마지막으로, 제품 정보 밑에 결제 정보를 입력하고 [COMPLETE ORDER] 버튼을 누른다.
여기 표시된 부분을 보면 할인 금액과 총 결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5. 가입 완료.
가입 했다면, 등록했던 이메일 주소로 가서 인증 절차를 진행한다.
※ 15일 이내에 이메일 인증을 하지 않는다면, 사이트가 비활성화 되어 접속이 안될 수 있다.
만약 사이트가 비활성화 되었을 경우, 링크를 통해 뒤늦게라도 활성화할 수 있다.
1-2. 결제 정보 확인
결제 처리가 잘 됐는지, 이용 기간이 얼마나 남았는지 확인하기 위해 결제 내역을 보는 방법을 알려주겠다.
1. 홈페이지에서 [Invoices] 버튼을 누른다.
2. [View Invoice] 버튼을 누르면 상세한 결제 내역을 볼 수 있다.
1-3. 웹 호스팅 결제 해지 방법
즉시 결제 해지 & 자동(갱신) 결제 해지 방법을 알려주겠다.
* 패스트코멧은 45일까지 환불이 가능하다.
1. 홈페이지 > Manage(관리) > Request Cancellation(요청 취소) 버튼을 누른다.
또는, Products(제품) > View Details(세부 정보) > Request Cancellation(요청 취소) 버튼을 누른다.
2. Cancellation Type(취소 유형)을 선택, 사유 작성 후 Request Cancellation(요청 취소) 버튼을 클릭한다.
* Immediately = 서비스 즉시 해지 / End of Billing Period = 사용 기간 만료일에 해지
요청 취소를 누르면 팝업으로 마스터 비밀번호 입력이 나타난다.
입력을 마치면, 상단에 취소 요청이 완료되었다는 메세지가 표시된다.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취소 요청이 처리된다.
1-4. 도메인 자동 결제 해지 방법
1. Domains or My domains > Manage Domain(도메인 관리)버튼을 클릭한다.
2. Tools(도구) > Auto renew(자동 갱신) 를 선택하고, Disable Auto Renew(자동 갱신 비활성화) 버튼을 클릭한다.
취소가 완료되면, 등록된 이메일로 취소 완료 메세지를 받을 수 있다.
2. SSL 인증서 설치
SSL 인증서는 사이트의 보안을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된다.
1. 패스트코멧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밑에 있는 [Enable SSL] 버튼을 누르고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2. 이곳에서 등록된 도메인 주소 확인이 가능하며, 표시된 부분을 누른다.
※ 사이트를 개설한 뒤 얼마 되지 않아서 바로 issue 신청하면 인증 실패 오류가 날 수도 있다.
※ 도메인 주소를 다른 업체에서 사용하다가 이곳으로 옮겨 사용하는 경우, 네임 서버 변경 후 최대 48시간 이내 변경이 완료된 후에야 SSL인증서 발급이 가능하다.
그러면 SSL인증서 설치가 완료되어 https 접속이 가능해진다.
사이트를 보면 이렇게 주소창에 자물쇠 모양이 뜰 것이다. 보안이 잘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 잘 모르겠다면, 패스트코멧 챗을 이용하여 상담원에게 도움을 요청하자. 직원이 원격으로 대신 설치해 줄 것이다.
도움 요청 문구 → I have a problem when installing SSL certificate. Can you help me?
3. 보안을 위해 항상 https를 연결되게 만들면 좋다.
이것을 참고하여 적용 시키면 된다.
* 이 역시 어렵다면 직원에게 도움을 요청하자.
도움 요청 문구 → Hi, I want to force HTTPS for my visitors. I have no idea how to do that. Can you help me?
3. 워드프레스 설치
1. 홈페이지 밑에 [Install Appllcatiom] 버튼을 누르고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2. 워드프레스 플랫폼의 [Install] 버튼을 누른다.
3. 도메인 설정란에서 앞에 있는 주소를 [https://] 형식으로 바꾸고, [In directory]칸을 공란으로 만든다.
4. 아래로 내려가서 [사이트 소개] 내용과 [관리자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언어를 설정하고 밑에 [Install]버튼을 누른다.
5. 워드프레스 설치 완료.
install이 끝나면, 워드프레스가 개설되어 본인의 사이트 주소와 관리자 페이지 주소가 나온다,
6. 워드프레스 로그인
관리자 페이지 주소로 들어가 개설할 때 만든 관리자 계정을 입력한다.
관리자 페이지 주소는 사이트 주소/wp-admin지만, 보안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로그인 페이지 주소를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만약에, 로그인 페이지 URL을 모르는 경우에는 웹 호스팅을 확인 바란다. 그리고 블로그 페이지와 관리자 페이지는 즐겨 찾기 해두는 것이 좋다.
※ 가입하는 과정에서 타 업체(예: 가비아, 카페24 등)에서 등록한 도메인을 입력하거나 추후에 도메인을 추가하는 경우, 도메인의 네임서버 정보를 새로 가입하는 웹 호스팅 업체의 네임서버 정보로 변경해야 한다(DNS 정보가 새로운 네임 서버 정보로 완전히 변경되기까지 24시간에서 48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음).
이상으로, 글을 마치겠다.
모를 때는 언제든지 사이트 직원에게 채팅으로 도움을 요청하길 바란다.
다음 글 → 클릭
https://mryun31.com/%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a%b8%b0%ec%b4%88-%ec%84%a4%ec%a0%95-%ed%95%98%eb%8a%94-%eb%b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