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eratepress 테마로 블로그 꾸미기 예시
필자의 설정을 공개할테니, 이것을 참고하여 본인의 테마를 꾸미길 바란다.
각 옵션들을 일일이 설명하는 것보다 본인이 직접 만져보면서 배우는 것이 낫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했고, 플러그인을 깔아야 하거나, 관리자 페이지에서 설정할 수 있거나, 설명할 필요가 없는 항목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 글은 유료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무료 버전에서는 설정할 수 있는 옵션이 한정적이기 때문에 유료 버전을 구매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유료 버전 구매는 Generatepress 홈페이지에서.
유료 버전을 구매했다면 외모 > Generatepress로 들어가 해당 모듈을 활성화 한다.
외모 > 사용자 정의하기로 들어가면 블로그 디자인을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온다.
* 설명의 편의를 위해 크롬 사이트의 구글 번역 기능을 통해 한국어로 설정하였습니다.
1.. 사이트 아이덴티티
사이트 제목, 설명, 로고, 사이트 아이콘을 설정하는 항목이다.
2. 레이아웃
이곳에서 다양한 항목의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다.
2-1. 컨테이너
컨테이너 폭을 700px보다 좁게 폭을 지정하려면 CSS로 강제로 지정해야 한다.
모바일 화면의 여백도 조정할 수 있는데,
여백을 조정하지 않으면 모바일로 콘텐츠를 읽기 어렵고 방문객이 찾아오지 않을 수 있다.
그러니 이 설정은 필히 하길 권장한다.
2-2. 머리글
2-3. 기본 탐색
2-4. 사이드 바
일부 수익형 블로그에서는 글 읽기에만 집중하고 콘텐츠와 광고만 표시되도록 하여 수익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사이드바를 표시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사이드바를 표시하고 싶지 않다면, Content (no sidebars)를 선택하면 된다.
사이드바를 배치하고 싶은 경우에는 적절한 옵션을 선택한다.
보통은 오른쪽 사이드바 옵션을 선택한다.
* 사이드바 너비에 따라 본문의 너비가 달라진다.
2-5. 블로그
이 항목에서 설정할 수 있는 것이 많다.
콘텐츠 섹션에서 게시물 표시와 무한 스크롤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고,
아래의 주요 이미지 섹션에서 콘텐츠의 썸네일에 대한 설정을 할 수 있다(아카이브와 본문 따로 설정할 수 있음).
또한, 그 밑에 열 섹션에서 게시물을 열로 나누어 표시할 수 있다.
* 수익형 블로그의 경우 썸네일 없이 설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3. 색상
이곳에서는 각 컨테이너, 버튼, 글씨 등의 다양한 색상을 디테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4. 타이포그래피
이것으로 generatepress 테마 세팅에 대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설정을 많이 안 해서 그런지 설명할 부분이 많이 없었네요.
저는 무난하며 깔끔한 디자인을 추구했기 때문에 설정을 굳이 많이 하지 않았습니다.
그 때문에 개성이 없는 블로그가 되었죠.
부족하지만,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