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검색 엔진 등록 하는 법
새로 사이트나 블로그를 개설했을 때,
포털 사이트에 새로 만든 사이트를 검색하면 검색 결과에 나오지 않는다.
이는 검색엔진이 그 사이트가 존재하는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검색엔진이 등록이 안 되면 방문자 유입이 어렵다. (특히, 사이트를 방문해본 적 없는 신규 방문자는 더더욱.)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 블로그를 개설하면, 검색엔진(구글, Naver, 다음 등)에 사이트 제출(등록)을 하여 사이트의 존재를 알려야 한다. 특히, 점유율이 높은 네이버와 구글은 무조건 등록해야 한다.
물론, 검색엔진에 자동 등록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는 각 엔진이 웹 사이트들을 크롤링하면서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인데, 이것은 전적으로 각 검색엔진의 알고리즘에 의존하는 것이고, 등록까지 얼마나 오래 걸릴지 예상할 수가 없다.
그래서 빠르고 확실하게 등록할 수 있는 수동으로 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럼 지금부터 수동으로 검색엔진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구글
구글 등록이 가장 쉬운데, 관리 창에 들어가서 구글 서치 콘솔 플러그인을 적용만 하면 된다.
네이버
네이버의 경우 조금 복잡한데. 우선, https://searchadvisor.naver.com/ 이 사이트로 접속해서
우측 상단에 있는 웹 마스터 도구를 클릭한다.
그리고, 표시한 칸에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표시된 메타 태그를 복사해서
티스토리 스킨 편집에 들어가 헤드 섹션 밑에 붙여 넣고 적용하면 된다.
그러면 이렇게, 사이트가 등록이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스킨 편집 방식이 어렵다면,
플러그인으로 메타 태그 등록하는 방법도 있는데. 참고하고 싶다면 → 클릭
아직 다 끝난게 아니다.
이 다음에 RSS를 제출해야 하니 표시한 부분(등록된 사이트 주소)을 클릭한다.
클릭하면 이런 창이 나오는데 요청을 클릭하고,
표시한 칸에 블로그 주소를 입력하고, 소문자로 rss를 붙여서 확인을 누르면 rss 제출은 끝난다.
마지막으로, 사이드맵 제출을 해야 한다.
사이트맵도 마찬가지로
블로그 주소 뒤에 ‘sitemap.xml’를 붙이면 된다.
웹사이트 등록을 하면 일정 시간 시간이 경과한 후, 검색엔진이 웹사이트를 색인하게 된다.
검색 등록이 잘 됐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site:사이트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등록 이후엔 웹사이트에 존재하는 콘텐츠나, 최적화 여부에 따라 특정 키워드를 입력할 때 등록된 웹사이트의 홈페이지 혹은 특정 페이지가 노출된다.
물론 각 키워드마다 KD(Keyword difficulty, 키워드 난이도)가 다르고, 본인 홈페이지의 콘텐츠와 DR/DA(Domain Rating, Domain Authority)점수, 연관성(Relevance) 등 무수히 많은 변수에 따라 상위에 노출이 될 수도 있고,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티스토리 블로그 검색엔진 등록이 끝났다.
다음, 줌, 빙 같은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엔진에도 사이트를 등록할 수는 있지만,
크게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서 작성하지 않았다.
(네이버와 구글을 제외한 나머지 포털 사이트의 점유율은 5%)
검색 엔진 등록까지 했다면, 티스토리 블로그를 운영하기 위한 기본적인 준비는 다 끝났다.
여기서 더 나아가면 블로그 꾸미기 & 개인이 만든 스킨을 적용하는 것 정도가 있는데,
그건 다른 블로그를 참고 하길 바란다.
그럼 이상으로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가이드를 마친다.
블로그 활동 잘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