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드프레스 기초 설정 하는 법
어느 정도 기반을 갖춘 상태에서 설명하는 거라 서로 화면이 다를 겁니다. 이 점 양해 바라겠습니다.
1. 설정
1-1. 일반
사이트 언어를 한국어로 바꾸고, 시간대도 UTC+9(서울)으로 설정한다(바꾸지 않고 그대로 두면 영국 시간대로 표시됨).
※ 워드프레스 업데이트 버전에 따라 일부 메뉴의 번역이 다를 수 있다.
ex) 버전에 따라 테마 디자인은 외모, 외관으로 사용자 정의하기는 꾸미기로 표시됨.
1-2. 고유 주소
고유주소 구조를 검색엔진에 가장 도움이 되는 글 이름으로 설정한다.
1-3. 토론
핑백과 트랙백은 다른 웹 사이트 운영자가 내 포스팅 링크를 걸면, 이를 알려주는 기능인데,
이 기능을 통해 웹 사이트에 악성 코드가 들어올 수도 있기 때문에 비활성화 하는 것이 좋다.
반면, 댓글 알림 & 승인 기능은 스팸이나 악플 방지 뿐만 아니라 방문자들과의 소통을 위해 활성화를 권장한다.
1-4. 미디어
1-5. 읽기
피드 글의 보기 옵션을 요약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한다.
※ 검색 엔진 가시성 항목은 절대 체크하지 않아야 된다.
체크하면 검색 엔진이 이 사이트를 찾을 수 없게 된다(자체 저품질).
1-6. 개인정보
웹 사이트를 운영할 때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3가지 페이지가 필요하다.
1. 개인정보 처리 방침 관련 페이지
2. 저작권 관련 페이지
3. 이용 약관 페이지 (상업적인 이용 시)
개인정보 페이지는 이 곳에서 ‘새 페이지 생성하기’를 클릭하면 예시로 만들어주는데,
이 페이지를 그대로 사용하면 안되고, 행정안전부에서 운영하는 ‘개인정보보호 종합포털’에서 개인정보 처리 방침 작성 예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작성하면 된다.
나머지 두 페이지에 대해서는 알아본 뒤 차후 업로드하겠습니다.
2. 사용자 > 프로필
프로필에서 필수 항목을 설정한다.
워드프레스 관리자 페이지에 로그인을 할 때, 여기에 입력한 사용자명과 암호를 이용하여 로그인 하면 된다.
‘사용자명’은 방문자 댓글에 답변을 할 때, 포스팅에서 작가를 표시할 때, 다른 워드프레스 사이트에 가서 댓글을 남길 때도 보일 수 있고 무엇보다 절대로 바꾸지 못하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민해야 한다.
비밀번호는 “암호 생성”을 클릭하여 변경할 수 있다.
※ 이메일, admin, administrator, 사이트 이름 등과 사용자명을 같은 ID로 설정하면 보안상 위험하므로 다른 이름으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한다.
3. 플러그인
워드프레스 설치 시 함께 설치되는 Jetpack by WordPress.co, OptinMonster API, MonsterInsights 등의 플러그인은 사이트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으므로 삭제하는 것을 권장한다(그냥 깔려있는 거 다 삭제하면 됨).
* 테마나 플러그인을 검색할 때, 한국어가 아닌 영어로 검색해야 된다.
* 사용하는 테마와 설치된 플러그인에 따라 관리자 페이지 메인 메뉴에 추가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 가능한 사용자 수가 많고 최근에 업데이트 된 플러그인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업데이트 된지 오래된 플러그인은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할 수 있다.
※ 설치 개수 제한은 없지만, 가급적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잘못 만들어지거나 기능이 많은 플러그인은 사이트 속도를 저하 시키거나 다른 플러그인과 충돌을 발생 시킬 수 있다(잘 만들어진 플러그인은 많이 설치해도 사이트에 그리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
※ 항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 보안상 안전하다. 오래된 플러그인은 보안상 문제가 될 수 있고, 최신 버전의 워드프레스나 다른 테마 혹은 플러그인과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4. 테마
외모 > 테마로 들어가 새로 추가를 클릭하고 generatepress 테마를 검색하여 설치한다.
generatepress 테마는 깔끔하고 현대적인 디자인에 딱 필요한 기능들만 갖추어 (무게가 가벼워서) 속도에 지장을 주지 않아 블로그에 가장 최적화 된 테마 중 하나로 손 꼽히고 있다.
이 블로그도 이 테마를 사용하고 있다.
이 테마 외에 본인이 마음에 드는 테마를 골라도 상관은 없다.
만약 다른 테마를 고르고 싶다면, 특성 필터를 활용해서 찾아봐도 좋지만 이 글을 참고하는 것도 추천한다.
* 활성화된 테마 외에 기본 테마 하나 만 남겨두고 이외에 사용하지 않는 테마는 모두 삭제하는 것이 보안상 바람직하다.
https://mryun31.com/%ec%9b%8c%eb%93%9c%ed%94%84%eb%a0%88%ec%8a%a4-%eb%b8%94%eb%a1%9c%ea%b7%b8-%ed%85%8c%eb%a7%88-%ec%b6%94%ec%b2%9c/
5. 글
5-1. 카테고리
카테고리를 생성하거나 수정하는 등 카테고리를 관리를 하는 곳이다.
슬러그를 굳이 나처럼 영어로 작성할 필요 없다.
태그 창은 카테고리와 같고 어차피 들어갈 일 없으니 굳이 설명하지 않겠다.
5-2. 모든 글
발행한 글, 임시 글, 검토 중인 글, 휴지통 등 모든 글을 모아 관리 하는 곳이다.
이곳에서도 카테고리 및 태그 편집이 가능하다.
HIts는 글 조회수인데(초기화 되지 않음),
개인적으로 제대로 기록되는지 의문이 든다. 들어오는 방문자에 비해 기록이 잘 안 남는다.
5-3. 새로 추가
글을 작성하는 방법과 팁을 알려주겠다.
보면 글 쓰는 방식이 다른 블로그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구텐베르크’ 라는 워드프레스만의 글 작성 인터페이스이다.
기능이 많지만 익숙치 않아 다루기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그냥 ‘고전 편집기’ 플러그인을 설치하기를 권장한다.
설치 방법은 테마 설치 하는 방법과 유사하다.
고전 편집기는 구텐베르크가 생기기 이전에 있었던 워드프레스의 글 작성 인터페이스로, 이제는 업데이트가 거의 진행 되지 않지만 구텐베르크 보다 친숙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라 아직까지도 구텐베르크 보다 사용자가 많다. 개박살 난 구텐베르크의 평점을 보면 그 인식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인터페이스는 쓰기 설정에서도 바꿀 수 있다.
고전 편집기를 활성화 하면 친숙한 인터페이스를 볼 수 있는데,
위에서부터 쓸만한 기능을 설명하겠다.
화면 옵션은 필요 없는 창을 안 보이게 할 수 있는 기능이다.
그 밑에 있는 것은 글쓰기 집중 모드로, 사이드 창을 안 보이게 하는 기능이다.
필자는 옆에 보이는 사이드 창이 정신 사나워서 해당 모드를 적용하고 있다.
공개 항목은 글을 발행을 하거나, 발행 상태를 임시 상태로 바꾸거나, 발행 시간을 수정할 수 있는 항목이다.
그 다음 좌측부터 보면 해당 포스팅의 단어 수를 확인할 수 있다.
요약 글은 컨텐츠에 대한 설명으로 표시할 수 있고, SEO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니 작성하는 것이 좋다.
오른쪽에 보면 카테고리와 태그 항목이 있는데, 여기서도 카테고리와 태그를 생성하고 수정할 수 있다.
특성 이미지는 글의 썸네일을 넣는 항목이다.
5-3-1. 카테고리 설정 Tip
카테고리를 설정 안하고 발행하면 자동으로 기본 카테고리 항목으로 발행 되는데,
이 기본 카테고리는 쓰기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다.
5-3-2. 글 작성 시 특이사항
나만 그런 건지 모르겠는데, 소제목(H2, H3, H4 등)과 글 중앙 정렬을 같이 사용할 때 위 아래 간의 글 여백이 사라지고 다시 띄어도 적용이 안된다.
+ 간혹 중앙 정렬이 적용 안 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을 해결하려면 문장을 전체적으로 문단으로 한번 맞추고나서 여백을 띄어주어야 하고,
소제목은 그 후에 따로 설정해야 한다.
필자는 이 문제로 여백을 어떻게 적용 시키는지 몰라 글 작성하기가 굉장히 번거로웠고 고생을 많이 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부디 나 같은 고생 안 하셨으면 좋겠다.
내 생각엔 시스템이 뭔가 충돌을 해서 이러는 것 같은데, 혹시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방법을 아시는 분이 있으시다면 댓글 남겨주시길.
6. 사이드바 카테고리 표시
카테고리를 만들어도 블로그 사이트에서는 표시 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카테고리를 표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겠다.
8-1. 외모 > 메뉴
우선, 메뉴에 들어가서 카테고리 메뉴를 만든다.
부모 카테고리와 자식 카테고리는 이미지에 제태크와 블로그 항목처럼 마우스 커서로 끌어당겨서 정렬하면 된다.
8-2. 외모 > 위젯
메뉴를 만들었으면, 위젯에 들어가서 사이드바를 클릭한다.
[+] 버튼을 누르고 제목을 설정한다.
제목을 만들었다면, 카테고리 목록을 만든다.
카테고리 목록을 만들었다면, 우측 상단의 설정 버튼을 눌러 카테고리 목록 항목을 조정하고 업데이트 하면 카테고리 목록이 사이트 사이드바에 표시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정하는 항목은 아니지만 설명하지 않은 항목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
알림판
홈에서는 전체적인 사이트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업데이트에서는 업데이트 가능한 테마와 플러그인 리스트가 표시되고 워드프레스 코어, 테마, 플러그인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유료 테마와 플러그인은 경우에 따라 여기에서 업데이트가 안 될 수도 있음).
-
도구
내보내기/가져오기를 통해 사이트 콘텐츠를 다른 곳으로 이전할 수 있으며, 사이트 건강에서 사이트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사이트 성능, 보안 개선을 위한 권장사항을 확인할 수 있음).
이외에 페이지, 댓글 등 설명하지 않는 항목에 대해서는 어차피 사용할 일이 없다고 생각되니 설명하지 않겠다.
플러그인을 따로 설치해야 보이는 항목과 기능에 대해서도 설명하지 않겠다.
(페이지 항목은 페이지를 꾸미는 곳으로, 꾸미지 않으면 페이지에 최신 글이 올라오는데, 블로그는 굳이 꾸미지 않아도 괜찮다.)
기초 설정에 대한 설명은 여기까지 하고 글을 마무리하겠다.
다음 글 → 클릭
https://mryun31.com/generatepress-%ed%85%8c%eb%a7%88%eb%a1%9c-%eb%b8%94%eb%a1%9c%ea%b7%b8-%ea%be%b8%eb%af%b8%ea%b8%b0-%ec%98%88%ec%8b%9c/